블로그 이미지
Welcome to Tim's blog 딤스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
JAVA (4)
ASP.NET (8)
SECURITY (1)
ETC (0)
Total
Today
Yesterday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3건

  1. 2018.12.05 2-1. 웹폼
  2. 2018.12.05 1. 닷넷 프레임워크
  3. 2018.12.05 ASP.NET Index

2-1. 웹폼

ASP.NET / 2018. 12. 5. 16:33
1. 웹 폼의 구성
 - 표현부분 (웹폼의 시각적인 부분을 담당) : 태그, 서버 컨트롤, 정적 텍스트와 같이 웹 폼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요소가 위치한다.
 - 코드부분 (웹폼의 내부 로직 부분을 담당) : .NET 언어를 통해 작성한 내부 로직이 위치한다.

 <script runat="server">

   //내부로직

 </script>

                 코드 부분(logic)

 <html>

   <body>

    ...

   </body>

 </html>

                 표현 부분




2. 웹 폼 코드 모델
 - 단일 파일 페이지 모델 (Single-File Page Model)
    코드 부분과 표현 부분이 .aspx 파일(동일한 웹 폼)에 같이 존재하는 형태.
    코드와 태그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쉽게 웹 폼을 분석할 수 있다.
    파일간에 종속성이 없으므로 단일 파일 페이지의 이름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코드부분은 반드시<script runat="server"> </script> 태그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

 - 코드 숨김 페이지 모델 (Code-Behind Page Model)
    표현 부분은 .aspx 파일, 코드 부분은 다른 클래스 파일(.cs 파일)에 놓여지는 형태.
    코드 부분과 표현 부분을 완전히 구분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는 동안  웹 디자이너는 태그로 디자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코드를 여러 페이지에 재사용할 수 있다.

 

<html>

   <body>

    ...

   </body>

  </html>

 

 

      .aspx 파일

 

 using System;

 using System.Data;

 ...

 public partial class Default_:Page

 {

     //내부 로직

 }

 

        .cs 파일



- Partial 클래스의 특징
  1. ASP.NET 2.0 코드 숨김 페이지 모델에서는 C#2.0에 추가된 partial 형식이라는 새로운 언어기능을 사용하여  1.x에서 가지고 있던 상속의 복잡성, 컴파일의 복잡성 문제를 한번에 해결했다.
  2. partial 형식은 클래스(또는 구조체, 인터페이스)를 두 개 이상의 소스 파일로 분할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3. partial 클래스로 분할된 여러 클래스는 컴파일 시 컴파일러에 의해 합쳐진다. 
  4. ASP.NET 2.0의 코드 숨김파일(.cs 파일)은 partial 클래스로 정의된다.
  5. parrtial 클래스로 만들어진 코드 숨김 파일에는 웹 폼으로 사용된 서버 컨트롤에 대한 변수와 이벤트 바인딩 관련 구문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서버 컨트롤 변수와 이벤트 바인딩 관련 구문은 런타임에 컴파일러에서 모두 처리해 준다. (cf. 1.x 에서는 다 작성해줘야 함)
     결과적으로 코드 숨김 파일에는 개발자가 생각하는 논리만 깔끔하게 작성하면 된다.

  ※ 코드 숨김 페이지 모델을 지원하지 않는 .NET 언어 : J#과 같이 partial 클래스를 지원하지 않는 .NET 언어를  사용하면 코드 숨김 페이지 모델의 웹 폼을 만들 수 없다.


 

3. 웹 폼 이벤트

아래와 같은 형태로 사용. (sender : 이벤트가 발생한 개체를 나타내는 개체, e : 이벤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개체)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 웹 폼 이벤트 발행 순서
  Init 이벤트 -> LoadView State 이벤트 (서버 컨트롤 정보) -> Load 이벤트 -> 서버 컨트롤 이벤트 -> PreRender 이벤트 -> SaveView State 이벤트 -> Unload 이벤트

 * Init, Load, PreRender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벤트


4. 다시 게시(Postback)과 페이지 간 게시(Cross-Page Posting)
 - 다시 게시 (Postback)이란 default.aspx란 페이지가 웹 서버에게 다시 default.aspx란 페이지를 요청하는 프로세스.









추가 예제(발생할 수 있는 문제) : http://beomsik.com/30061542930



- 페이지 간 게시 (Cross-Page Posting)
 자신이 아닌 다른  대상 페이지로 현재 페이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ASP.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마스터 페이지  (0) 2018.12.05
3-1. 테마  (0) 2018.12.05
2-2. 표준컨트롤, 서버컨트롤  (0) 2018.12.05
1. 닷넷 프레임워크  (0) 2018.12.05
ASP.NET Index  (0) 2018.12.05
Posted by 딤스
, |

1. 닷넷 프레임워크

ASP.NET / 2018. 12. 5. 16:32
1. 닷넷 특징
 - 플랫폼 독립성 : 닷넷 프레임웍
 - 다양한 언어 지원 : CLS (Common Language Specification) 
 - 상호 운용성 : 닷넷, COM, WIN32 API 사이 호환성

2. 닷넷 프레임워크 구성도 와 구성요소


<닷넷 프레임워크 구성도>




<2-1. 닷넷 프레임워크 클래스 라이브러리>




<2-2. 공용 언어 런타임(CLR) 구성>


 - 공용 언어 런타임 CLR (Common Language Runtime)은 여러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서 닷넷 형식을 관리하는 역할을 함. (예를들면, 메모리관리, 보안 관리, 오류 처리 등의 작업을 도와주어 프로그래밍을 단순화하는 역할을 해주고,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도 제공해준다.)




<2-3. 공용 언어 런타임(CLR)의 역할>



- 마이크로소프트 중간 언어 MSIL (MicroSoft Intermediate Language) : 닷넷 언어로 작성된 소스는 MSIL을 통해 컴파일 되어 사용됨.
다양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고, MSIL를 통한 exe, dll 등으로 보관되어진 후, 실행될 운영체제에서 JIT (Just-In-Time) 컴파일러를 통해 활용되어 사용되어짐.


Ex)
컴파일 단계 : C# -> C#컴파일러 -> exe or dll (MSIL 실행파일)
실행 단계 : Base Class Library -> Class Loader -> MISL to Native Code Compilers -> 원시코드 (Native Code) -> 실행

  
 

- 기본 클래스 라이브러리 BCL : 모든 닷넷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서 공통으로 자주 사용하는 System, System.Collections, System.Diagnostics 등과 같은 네임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프로토콜 구현, 파일과 스트림 입출력 클래스, 멀티스레딩, 텍스트 처리,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그리고 리플렉션(Reflection) 등의 기능도 함께 포함하고 있습니다.

'ASP.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마스터 페이지  (0) 2018.12.05
3-1. 테마  (0) 2018.12.05
2-2. 표준컨트롤, 서버컨트롤  (0) 2018.12.05
2-1. 웹폼  (0) 2018.12.05
ASP.NET Index  (0) 2018.12.05
Posted by 딤스
, |

ASP.NET Index

ASP.NET / 2018. 12. 5. 16:29
1. ASP.NET 프레임워크

2. 웹폼 , 표준컨트롤 , 서버컨트롤

3. 테마 / 마스터 페이지

4.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데이터 바인딩 컨트롤

5. 유효성 검사

6. 디버깅

7. 웹사용자 정의 컨트롤

8. 내장객체

9. 인증처리 방식

10. 파일 처리

11. 웹파트

12. 기본게시판

13. 회원가입

14. 성능향상 Tip

15. LINQ

16. XML 연동

'ASP.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마스터 페이지  (0) 2018.12.05
3-1. 테마  (0) 2018.12.05
2-2. 표준컨트롤, 서버컨트롤  (0) 2018.12.05
2-1. 웹폼  (0) 2018.12.05
1. 닷넷 프레임워크  (0) 2018.12.05
Posted by 딤스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